장례식장에 가면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상주와의 대화법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상주는 슬퍼하거나 우울해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분위기를 바꿔보고자 농담을 하거나 장난을 치는 사람도 있는데 이것은 좋지 않은 행동입니다. 물론 유가족 또한 슬픔 속에서도 예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상객들은 서로 간의 예절을 지키며 유족에게는 말 한마디라도 조심스럽게 건네야 됩니다.
그렇다면 적절한 상황별 인사말로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조문 위로 말 예문
- 어떠한 말로 위로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고인의 갑작스러운 별세에 애도의 말씀을 드립니다.
- 좋은 곳으로 가셨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 가족분들의 슬픔에 큰 위로 말씀을 드리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극락왕생하시길 기원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상심이 크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진심으로 조의를 표합니다.
- 뜻밖의 비보에 슬픈 마음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갑작스러운 소식을 듣고 연락드립니다. ㅇㅇ 님의 별세를 애도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고인께서 애석하게도 세상을 하직하셨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어떠한 위로의 말로도 다할 순 없겠지만, 삼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고인의 별세를 진심으로 애도합니다.
- 삼가 조의를 표하며, 주님의 위로와 사랑이 함께 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주님의 사랑으로 영원한 안식을 누리실 것을 믿습니다.
방문이 어려울 때 문자 메시지 예문
조문 위로 말은 방문뿐만 아니라 문자메시지로도 보낼 수 있습니다. 물론 상을 당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바로 찾아가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직접 말하기 어렵다면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로도 존경과 위로의 말을 담아 전송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아래에서 몇 가지 예문을 보여드리겠습니다.
- 큰 도움이 되지 못해 죄송합니다. ㅇㅇ님의 명복을 기원하며 모든 것이 안정되면 연락 한 통 남겨주세요.
- 예고 없이 찾아온 슬픈 소식에 애석한 마음을 이루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직접 찾아뵙지 못해 죄송합니다. 삼가 조의를 표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갑작스러운 소실에 멀리서나마 진심으로 애도를 표합니다. 마음 잘 추스르시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멀리서 나마 위로의 말을 전하며 직접 조문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 마땅히 찾아뵙는 것이 도리이지만, 상황이 여의치 못해 서면으로 인사드립니다.
- 장례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진심을 담아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부득이한 사정으로 조문치 못하여 죄송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직접 찾아뵙지 못해 마음이 불편하여 이렇게 연락을 남깁니다. 잘 추스르시고 무사히 귀가하시길 바랍니다. 힘들 때 찾아주시면 바로 달려가겠습니다.
그 밖에 다양한 언어별 예문으로도 보여드리겠습니다.
- 영어: I am sorry for your loss. (유감입니다.)
- 중국어: 悲痛失意。(비통실의.)
- 일본어: 心から哀悼の意を表します。(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전합니다.)
- 스페인어: Muchas gracias por su muerte. (당신의 죽음에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 프랑스어: Je souhaite de bienvenir avec une heureuse et prosperite vie. (부디 평안히 영면하시길 바랍니다.)
물론 위 내용 외에도 더 많은 종류가 있지만 일일이 나열하기엔 한계가 있으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끝으로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이것은 어디까지나 격식을 갖춘 자리이므로 지나치게 장난스러운 언행은 삼가야 됩니다. 자칫 상대방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실례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조문 시 주의사항
조문 위로 말을 전할 때는 밝은 표정과 목소리는 실례가 될 수 있습니다. 낮고 차분한 목소리로 또박또박 전달합니다. 또한, 조문객 접대로 인해 바쁠 수 있으니 상주에게 직접 전화하는 것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객에게 지나친 슬픔을 표현하는 말 또한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어떻게 해, 너무 힘들겠다, 부담스럽겠다 '등은 오히려 상대방의 마음을 더 무겁게 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표현은 덜어 내야 합니다. 힘을 북돋는 표현은 오히려 더욱 반감을 살 수 있으므로' 파이팅, 힘내,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거야'와 같은 긍정적인 말을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메시지를 보내는 상황이라면 이모티콘이나 줄임말, 은어는 사용을 자제합니다. 반복된 여러 개의 이모티콘 등은 진중함이 부족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고인의 사망사유는 유가족이 먼저 말을 꺼내지 않는 이상 질문하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 조문 위로 말을 건네기 어렵다면 포옹이나 손을 꼭 잡아드리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됩니다.
같이 보면 도움 되는 글
조의금 봉투 쓰는법
여러분들은 장례식장에 갈 때 조의금을 얼마나 내시나요? 요즘엔 5만 원권 지폐 한 장씩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부의금 봉투에 이름 석 자와 금액을 적어서 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new.bbworld2022.com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ESFJ 특징 (0) | 2022.12.31 |
---|---|
음력 양력 변환기 (0) | 2022.12.31 |
영어이름 변환기 3가지 활용하기 (0) | 2022.12.29 |
페미니스트 뜻과 유래 (0) | 2022.12.28 |
586세대 뜻 MZ세대 뜻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