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속에서 크고 작은 다툼도 발생합니다. 하지만 요즘처럼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진 시대에서는 타인과의 갈등 상황 자체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직장 내에서도 상사와의 트러블 혹은 동료 간의 불화 같은 문제상황보다는 묵묵히 자신의 일만 처리하면서 최대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저 역시도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게 되더라도 크게 개의치 않고 넘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어차피 말해봤자 달라지는 건 없을 테니까 말이다. 이렇듯 우리는 스스로 감정을 컨트롤할 수 있다고 믿고 살아가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한 번 분노나 화라는 감정에 휩싸이게 되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게 되고 이성적인 판단력마저 잃게 되고, 이로 인해 큰 사고를 치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상대방으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억울한 일을 겪게 되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토사구팽’이라는 사자성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지만 나중에 유사한 상황이 생겼을 때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토사구팽이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토사구팽은 우리가 뉴스가 미디어를 접하다 보면 필요할 때는 중요하게 여겨지다가 필요가 없게 되면 버림받는다는 표현을 쓰는 경우도 보게 되는데요. 여기서 사용하는 팽은 토사구팽에서 나온 말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토사구팽 고사성어 의미와 유래
토사구팽은 고사성어이며, 토끼 토(兎), 죽을 사(死) 개 구(拘), 삶을 팽(烹)의 4자의 한문으로 이루어진 단어로 표기된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 쓰고 쓸모가 없어지면 버리는 경우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필요할 때는 중요하고 필요 없을 때는 앞뒤 보지 않고 버리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토사구팽의 춘추시대부터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사기 월왕 구천 세가에 나타나는 범려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범려는 월왕 구천을 옆에서 보좌했던 책사의 직책을 가진 사람으로서 월왕 구천을 성심껏, 정성을 다해 섬겼다고 합니다. 어느 날 오나라의 부차가 그의 아버지인 합려의 원수를 갚기 위해 침공하여 월나라가 멸망하기 직전까지 이르렀습니다. 이때 월왕 구천은 자신을 비판하여 자살을 하려고 했지만 범려와 문종은 월나라를 구할 수 있는 계책을 마련하여 상황을 역전시켜 오나라를 멸망시키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와신상담이라는 고사 성어도 함께 등장하게 되었는데, 오나라를 멸망의 결과를 이르게 한 구천은 중원의 제후들과 모여서 맹세하고 패자의 자리에 다시 오르게 됩니다. 범려는 이때 구천에 대해 고난을 함께했지만 영광은 함께 누릴 수 없는 인물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그런 후 범려는 구천을 필해 도망을 가 제나라에 은거를 하고 고난을 함께한 문종에게 조언을 하게 됩니다.
이때 한 조언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사자성어 토사구팽의 유래이다.
이외에도 토사구팽이랑 비슷한 고사 성어들이 있습니다.
토사구팽이랑 같이 사용해도 좋을 듯한 사자성어에 대해 몇 가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토사구팽과 같이 사용하기 좋은 사자성어
1. 조삼모사
조삼모사의 의미는 통상적으로 간사한 꾀를 가지고 남을 속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현대 중국어에서는 조삼모사를 변덕이 심하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2. 형설지공
형설지공은 반딧불과 눈으로 이룬 공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부유하지 않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공부에 전념하여 뜻을 이루고 목표에 달성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고사성어입니다.
3. 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토사구팽의 뜻과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고사 성어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것들만 받아들이고 자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배척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본인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친하게 진해던 사람들과도 본인에게 불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람을 버리고 비방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는 말이라고 합니다.
4. 역지사지
역지사지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상대편과 자신의 처지를 바꿔서 생각해 보라는 사자성어로 역지 즉 개연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
5. 조진모초
조진모초는 아침에는 북쪽의 진나라, 저녁에는 초나라에 있는다는 의미로 일정한 거처 없이 이곳저곳에 붙었다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이렇게 토사구팽의 의미와 유래, 토사구팽과 함께 사용하면 좋을 고사성어, 사자성어를 알아보았습니다.
필요할 때는 중요하게 여겨졌던 인물이 필요가 없을 때는 배신한다는 의미의 토사구팽은 요즘 정치계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사람의 태도를 비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토사구팽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서 토사구팽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토사구팽에 대해 알아본 후 어려운 사람을 도울 줄 알고 상황이 바뀌더라도 사람을 내치지 않는 사람이 되고 토사구팽 같은 행위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같이 알면 도움 되는 신조어
개딸 뜻과 의미 알아보기
요즘에는 출퇴근 시간에 대중교통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뉴스 기사를 찾아보곤 하는데 아무래도 사회로 나와서 일을 하게 되다 보니 원래 관심이 없던 정치 관련 분야에 대해서도 관심이 생
new.bbworld2022.com
도어스테핑 뜻 외국과 다른 점은?
요즘 뉴스를 접하다 보면 도어스테핑이라는 단어를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된 이후 공식적인 일과로 진행되고 있는 출근길 정문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자들과의 일
new.bbworld2022.com
너드남 뜻 신조어 알아볼까요
여러분 혹시 너드남이라는 단어 들어보셨나요? 요즘 인터넷 커뮤니티나 SNS 상에서 자주 언급되는 신조어입니다. 아마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단어, 바로 너드남입니다. 너드미가 풍기는 너드남
new.bbworld2022.com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온 체감온도 차이와 체감온도 높이는 법 (0) | 2022.12.26 |
---|---|
플러팅 뜻과 유래 (0) | 2022.12.22 |
옴 증상과 치료법 총정리 (0) | 2022.12.19 |
금영 노래검색 방법 쉽고 빠르게 (0) | 2022.12.17 |
너드남 뜻 신조어 알아볼까요 (0) | 2022.12.17 |
댓글